반응형
집값이 오르면 집 있는 사람은 세금으로, 없는 사람들은 내집마련으로 고통받으니 오르지 않는게 좋다.
오르더라도, 인플레 수준으로 적당히 완만히 오르는게 좋은 시나리오.
양질의 공급은 충분해야 멸실을 대비하고 주거의 질이 높아지며 신혼부부가 집을 마련하기 쉬워진다.
하지만 언론은 이를 우려한다.
한국경제신문 2021년 5월 25일 기사 표현을 보자
- 잘나가던 : 집값이 계속 많이 오르던
- 쇼크, 급랭: 집값이 오르지 않는다
- 공급이 많아지면 : (집값이 떨어질까봐) 우려
https://news.v.daum.net/v/20210525091105441
아파트 계약 포기 속출..잘 나가던 대구 부동산 시장 '쇼크'
대구 부동산 시장이 빠르게 식고 있다. 연초까지만해도 내놓는 아파트마다 높은 청약경쟁률을 보이면서 마감됐지만, 미계약과 계약취소와 잇따르고 있어서다. 당초 모집가구수의 95%가 미계약
news.v.daum.net
반응형
'재테크 도움방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미친 집값 세계 대도시와 비교 : 서울 vs 뉴욕, 런던, 파리, 도쿄, LA (0) | 2021.10.16 |
---|---|
네이버 부동산 중복매물 추정 - 원주 푸른숨휴브레스 사례 (3) | 2021.08.17 |
투기세력과 부동산 적폐는 누구인가? (0) | 2021.04.07 |
한국 집값은 OECD 평균에 비하여 매우 적게 올랐다는데, 사실일까? (0) | 2021.04.06 |
원주혁신도시, 힐데스하임이 아닌 푸른숨휴브레스에 투자한 이유 - 수익율 계산 (0) | 2021.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