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번 정부의 주택 가격 상승 현상이,
코로나 양적완화로 인한 전 세계적으로 함께 일아난,
어쩔 수 없는 일이라는 논리가 있다.
그래서 찾아서 정리해 봤다.
공식적인 국가통계는 아니지만,
사용자의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시시콜콜하게 물가를 조사하는 "넘베오"라는 사이트이다.
https://www.numbeo.com/cost-of.../historical-prices-by-city
추출 항목은 도시별 아파트 가격 (중심가, 외곽)이다.
이 사이트에서 조회되는 서울 중심가 아파트 가격이 (환율 1,100원, 33평으로 환산 시)
'16년 12.7억원, '20년 20.8억원으로 조회되는데,
city center를 강남 아파트로 보면 대략 맞는 것 같다.
다른 도시들도 같은 기준으로 측정했다고 보고,
세계 유수 대도시들의 최근 4년간 주택가격 상승율은 다음과 같다.
총 7개 도시 중 서울은
4년간, 전세계 대도시 중 가장 높은 상승율을 기록하였다.
2016년에는 6위였으나, 2020년에는 뉴욕, 런던, 파리, 도쿄를 제치고
홍콩 다음인 2위로 올라섰다.
반응형
'재테크 도움방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국 전통시장 리스트, 점포 수, 온누리상품권, 주차장, 화장실 여부 (0) | 2022.01.29 |
---|---|
원주 혁신도시 푸른숨휴브레스, 지금 들어가도 괜찮을까? (21년 10월) (0) | 2021.10.21 |
서울 미친 집값 세계 대도시와 비교 : 서울 vs 뉴욕, 런던, 파리, 도쿄, LA (0) | 2021.10.16 |
네이버 부동산 중복매물 추정 - 원주 푸른숨휴브레스 사례 (3) | 2021.08.17 |
부동산 언론 보도 특징 : 집값이 오르기를 바란다 (0) | 2021.05.25 |